-
꿈을 꾸는 이유, 의미 없는 꿈을 꾸는 이유? 잠을 자는 자세와 꿈일상 리뷰 2022. 7. 1. 08:55반응형
사람들은 꿈을 꾸고 꿈에 대해 의미를 부여해왔다. 그래서 태몽, 길몽, 흉몽, 예지몽 등등 꿈의 종류도 많고 해석 또한 다양하다.
꿈을 꾸지 않는 사람은 없다고한다. 단지 기억하지 않을 뿐. 인간이 잠을 자면서 꿈을 꾸는 이유에 대해서 여러 가지의 가설들이 있지만 아직까지 꿈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꿈을 꾸는 이유
-꿈은 뇌가 경험한 이미지들이 찌꺼기
뇌는 잠을 자면서 하루 동안 경험했던 일을 이해하고 정리를 한다. 그 과정에서 이미지가 떠오르는데 그것이 바로 꿈이다.
즉, 꿈이란 우리들의 뇌가 오늘 경험한 이미지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찌꺼기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뇌가 돌리는 시뮬레이션
최근들어 가장 주목받는 가설은 시뮬레이션 이론이다.
꿈은 미래를 미리 실험해보는 것이다. 즉, 있을지 모를 슬픔, 트라우마를 미리 시뮬레이션 돌려보고 미연에 방지한다는 것이다.
현실에서 위험을 인식하고 꿈을 통하여 위험에 대처할 방법을 찾는다는것, 이것을 시연 몽이라고 설명한다.
꿈과 현실의 연관
-많은 꿈 분석가들은 같은 꿈을 되풀이하는것은 실제 삶과 연관이 있다고 설명한다.
꿈에 관한 여러 가설들
-나쁜 꿈은 현실을 위한 훈련
사람은 무서운 꿈을 꾸고 나면 기분이 좋지 않은데 실제 무서운 꿈들은 현실에서 두려움을 직면했을 때 이를 보다 잘 극복하고 이겨낼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는 가설.
무섭고 두려운 느낌을 받을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은 깨어있을 때, 꿈을 꿀때 동일한 영역이 활성화되는데 잠을 자는 동안 해당 부위가 활성화되면, 현실에서 두려움에 직면 했을 때 보다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자세를 갖추게 된다. 현실에서 잘 대처가 되도록 트레이닝이 된다는 가설이다.
-사고하는 기능이 떨어져도 꿈을 꾼다
뇌의 중심에 있는 기저핵이라는 부위가 손상을 입은 환자들도 꿈을 꾼다고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건강한 사람들처럼 복잡하고 감정적인 꿈을 꾸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 스스로 더 이상 할 수 없는 행동들에 대한 꿈을 자주 꾼다고 한다.
-꿈은 조절이 가능하다
잠을 자는 동안 자기 자신이 꿈을 꾸고 있다고 인지하는 상태를 자각몽 또는 루시드 드림이라고 한다.
이 상태에서는 자기 스스로 꿈을 조절할수있다. 무서운 꿈을 꾸는 경우 자신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거나 꿈을 끊고 다른 내용으로 연결시킨 다던지 말이다. 하지만 잠을 자기전 의도적으로 자각몽을 유도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자각몽을 유도하는 실험을 많이 시도했지만 실패로 그쳤다고한다.
잠을 자는 자세와 꿈과의 관계
-옆으로 자는 자세
왼쪽보다는 오른쪽으로 잘 때 꿈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오른쪽으로 자는 경우 악몽은 줄고 좋은 꿈, 행복한 꿈을 꿀 가능성이 높다.
-반듯이 위를 보고 자는 자세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아 당황하는 꿈을 꿀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엎드려 자는 자세
성적인 꿈,폭력적인 꿈을 꿀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어딘가에 기대어 자는 자세
이러한 자세는 꿈을 더욱 생생하게 꾸게 된다. 꿈에서 깨어나도 현실과 꿈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반응형'일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대야 숙면하는 방법, 열대야가 생기는 원인 (0) 2022.07.02 에어컨 전기세 절약하는 방법 (0) 2022.07.01 무지개가 생기는 이유,원인,방법 (0) 2022.06.24 무좀,발톱 무좀의 원인,치료,예방 (0) 2022.06.21 식이섬유 풍부한 감자의 효능,부작용,GI지수 (0) 2022.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