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4절기의 뜻.신기하게 절기에 따라 변화하는 날씨
    일상 리뷰 2022. 2. 15. 22:49
    반응형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계절은 태양의 운동에 따라 변하는데, 과거에는 달의 움직임을 근거로 만든 음력을 사용했기에 달력과 계절이 일치하지 않았다.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태양의 운동을 반영한 24절기가 만들어졌다

    24절기 명칭

     

     

     

     



    1.입춘(立春)=2월4~5일경/봄의 시작, 태양의 황경이 315도일 때
    2. 우수(雨水)=2월 19~20일경/날씨가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때
    3. 경칩(驚蟄)=3월 5~6일경/겨울잠을 자던 개구리, 벌레 따위가 깨어나는 때
    4. 춘분(春分)=3월 21~22일경/태양이 춘분점에 이름,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질 때
    5. 청명(淸明)=4월 5~6일경/봄 농사를 준비하는 때
    6. 곡우(穀雨)=4월 20~21일경/봄비가 내려 온갖 곡식이 윤택해지는 때

     

     

     


    여름
    7.입하(立夏)=5월6~7일경/여름이 시작되는 때
    8. 소만(小滿)=5월 21~22일경/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차는 때
    9. 망종(芒種)=6월 6~7일경/보리가 익어 먹게 되고 모를 심을 때
    10. 하지(夏至)=6월 21~22일경/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을 때
    11. 소서(小暑)=7월 7~8일경/본격적으로 무더위가 시작되는 때
    12. 대서(大暑)=7월 23~24일경/1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로, 태양의 황경이 120도에 이르는 때

     

     

     


    가을
    13.입추(立秋)=8월8~9일경/가을이 시작되는 때
    14. 처서(處暑)=8월 23~24일경/더위가 그친다는 뜻으로, 태양의 황경이 150도에 달한 때
    15. 백로(處暑)=9월 8~9일경/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
    16. 추분(秋分)=9월 23일~24일경/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때
    17. 한로(寒露)=10월 8~9일경/태양의 황경이 195 도인 때로,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때
    18. 상강(霜降)=10월 23~24일경/된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때

     

     


    겨울
    19.입동(立冬)=11월7~8일경/겨울이 시작되는 때
    20. 소설(小雪)=11월 22~23일경/첫눈이 내리는 때
    21. 대설(大雪)=12월 7~8일경/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
    22. 동지(冬至)=12월 22~23일경/1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23. 소한(小寒)=1월 6~7일경/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
    24. 대한(大寒)=1월 20~21일경/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

    우리나라는 24절기로 계절의 변화를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요즘 기후변화로 인하여 절기에 맞게 계절, 날씨가 변하는 건 아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