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리코박터균 증상,감염여부,치료방법,약의 부작용일상 리뷰 2025. 1. 20. 22:37반응형
위암은 한국인에게 매우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유전적인 이유, 평소 식습관, 음주, 흡연 등이 원인으로 꼽을 수 있는데 헬리코박터균 감염도 위암의 주요 발병 요인으로 지목되고있다.
-헬리코박터균이란?
헬리코박터균은 사람의 위장 점목에 기생하고 있는 나선형 세균으로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다.
감염이 되면 위암 발생률이 3배 정도 높아지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지목되는 균으로 주로 대변이나, 위액 및 타액으로 균이 입을 통해 전파되는 경향을 보인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암, 위. 십이지장궤양, 만성위염, 위말트림프종, 기능성 소화불량 등을 유발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약물 치료를 통해 제균하는것이 좋다.
-헬리코박터균의 증상(명치통증)
증상으로는 위장의 불쾌감 외에도 구토,메스꺼움,식욕 부진을 유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의 모습으로는 명치통증이 있다. 소화불량이나 역류성 식도염, 위염증상처럼 명치가 불편하다가 통증이 점점 가슴 위로 번지는듯한 증상을 보인다.이때 가슴이 타는듯한 통증을 유발한다.
명치 통증은 위에서 말한거처럼 소화불량이나 역류성 식도염, 위염증상일 수도 있지만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이 있을 시에도 나타난다.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여부 검사
헬리코박터균의 진잔방법으로 호기 검사, 혈액 검사, 대변 검사 등이 있고, 내시경 검사를 통해 조직검사로 확진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균의 치료방법
헬리코박터균의 치료방법으로 주로 항생제를 사용하여 균을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항생제와 하나의 위산 억제제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 대표적인 치료법이다. 치료가 끝나면 균이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재검사를 꼭 해야한다.
15일 정도 헬리코박터균 약을 먹고 나면 대부분 치료가 된다.
-헬리코박터균 약의 부작용
헬리코박터균 약은 항생제라서 위염이 있는 분들은 속이 많이 쓰리거나 아프다. 또, 설사가 너무 심하다거나 두드러기와 같은 발진이 나타나 몸이 가려울수있다. 구토, 구역반응을 보이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또 위산 역류처럼 약물이 올라와 쓴맛 때문에 힘들 수 있다.
항생제가 나쁜균도 죽이지만 장내 유익한 균도 같이 죽이기 때문에 장내 세균총이 무너지면서 장염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다.
-헬리코박터균 약의 부작용, 증상으로 도중에 포기하시는 분들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2주정도 제시간에 맞춰 약을 꾸준히 복용하시면 대부분 균을 잡을 수 있다고 하니 많이 아프고 힘드시더라도 포기하시지 말고 치료하시기를 바란다.반응형'일상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변 색깔 건강상태 확인,녹색변,검은색 변,혈변 (2) 2025.01.24 발뒤꿈치 갈라짐 증상,원인,약,바세린 (1) 2025.01.22 관상 보는 법 (2) 2024.12.21 삼재의 의미와 풀이,2025년 삼재띠 (1) 2024.12.21 지방간이 생기는 이유,지방간에 좋은 음식 (1) 2024.12.13